개발새발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개발새발

  • 분류 전체보기
    • 회고
    • 정보처리기사
    • 공부
      • Spring
      • Docker
      • 오류
    • 개발 일지
    • 코딩테스트
      • 개념
      • 문제풀이
  • 홈
  • 태그
  • 방명록
Spring boot + React Whitelabel Error Page

Spring boot + React Whitelabel Error Page

스프링부트와 리액트를 연동해서 API 테스트 진행 중 다음 화면과 같은 에러 페이지가 발생했다.  이때까지 스프링 + 리액트를 연동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했을 때 한번도 이런 오류를 발견한 적이 없었는데..   Whitelabel Error Page는 Spring Boot의 기본 에러 페이지이다. 클라이언트가 Spring Boot 서버로 요청을 보냈지만, 해당 요청을 처리할 경로가 매핑되지 않았거나 예외가 발생한 경우 나타나는데 해당 페이지 콘솔을 보면 404에러가 뜨는것이 보인다. 원인은 총 4가지의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1. React SPA(Single Page Application) 라우팅 문제 -  React는 SPA로 동작하며, 클라이언트 측에서 라우팅을 처리하는데 브라우저에서 React 특..

  • format_list_bulleted 공부/오류
  • · 2025. 1. 24.
  • textsms

웹 서버(Web Server) - React + nginx

도커를 이용한 배포를 공부하는 도중 React 애플리케이션이 정적 파일로 빌드되어 Nginx를 통해 제공된다고 하였다.평소 로컬 환경에서 개발 시 Spring boot + React + MySql을 사용할 때는 nginx를 사용하지 않고 개발을 진행했는데, 배포 과정에서 React를 Nginx를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해서 정리해보았다. 웹 서버란? - 웹 서버는 인터넷에서 웹 프라우저(사용자)와 웹 애플리케이션(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중간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가 요청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한다. 웹 서버의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사용자): 웹 브라우저(크롬, 사파리 등)에서 특정 웹 주소(ex: www.example.xxx)를 입력한다. ..

  • format_list_bulleted 공부
  • · 2025. 1. 20.
  • textsms

컨테이너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

컴퓨터의 기본 실행 환경  컴퓨터는 운영 체제(OS: Windows, macOS, Linux 등) 위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려면 프로세서(CPU), 메모리(RAM), 디스크 저장소 등의 하드웨어 및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한 소프트웨어 환경(라이브러리, 설정 등)이 필요하다.  이때 동일한 프로그램이라도 컴퓨터의 설정, 라이브러리 버전, 운영 체제 등에 따라 실행이 달라질 수 있다."내 컴퓨터에서는 실행되는데 쟤 컴퓨터에서는 안 돼요!"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관된 실행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가상화(Virtualization) 기술 가상화는 물리적 자원(예: 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등)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분리하여 논리적 자원으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나..

  • format_list_bulleted 공부/Docker
  • · 2025. 1. 20.
  • textsms
2024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2회차 후기

2024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2회차 후기

24년 7월 28일 응시한 정보처리기사 실기 후기입니다.  1. 시험 과정2. 준비 기간 및 공부 방법3. 후기정보처리기사 실기 2회차를 치고왔습니다! 원래 1회차를 칠 생각이였는데 접수 대기가 너무 많아서 1회차 접수를 못하고2회차를 접수했습니다.가채점해본결과 답이 기억안나는 문제가 있는데 그 문제들을 다 틀려도 합격할만한 점수라 합격된 것 같아서미리 후기를 작성합니다!시험 과정이번엔 고등학교에서 시험을 쳤는데 오랜만에 고등학교에 가보니 신기하더라구요.아침에 일어나서 밥안먹고 씻고 준비하고 바로 학교로 필통하나만 챙겨서 택시타고 갔습니다.학교 입구에 이름하고 수험번호가 작성되어있어서 확인 후 해당 번호가 적힌 교실로 올라가면됩니다.근데 전 올라가봤는데 제 이름이 없어서 다시 내려와서 확인해봤는데 위에 ..

  • format_list_bulleted 정보처리기사
  • · 2024. 8. 9.
  • textsms

WebClient 사용을 위한 배경지식 및 개념

WebClient란? 'WebClinet'는 Spring WebFlux 모듈에 포함된 비동기, 논블로킹 웹 클라이언트로, RESTful서비스를 호출하는 데 사용된다. 'WebClient'를 사용하기 전 알아야 할 배경 지식 및 개념을 정리해보았다. 1. 비동기 프로그래밍 - 비동기 프로그래밍이란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래밍 방식이다. 'WebClient'는 비동기적으로 웹 서비스를 호출하는데, 이는 응답을 기다리는 동안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확장성을 향상시킨다. 2. 논블로킹 I/O - 논블로킹 I/O는 I/O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스레드가 차단되지 않고 다른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게 하는 I/O처리 방식이다. 'W..

  • format_list_bulleted 공부/Spring
  • · 2024. 3. 1.
  • textsms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IoC, DI

IoC(Inversion of Control) - 제어의 역전 - IoC는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사용자가 아닌 프레임워크가 관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IoC를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흐름을 프레임워크에 위임하여, 개발자는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하며,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제어 흐름을 관리한다는 것은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코드의 실행 순서나 방식을 결정하고 조절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함수나 메서드 호출, 반복문 실행, 조건문 평가 등을 통해 어떤 코드가 언제 실행될지를 결정할 때, 개발자가 결정하는 것이 아닌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 같은 외부 시스템에 위임한다. 이 방식에서 프레임워크가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실행 흐름을 책임지고, 개발자는 프레임워크가 요구하는 특정 부분에..

  • format_list_bulleted 공부/Spring
  • · 2024. 2. 27.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4
  • 5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 회고
    • 정보처리기사
    • 공부
      • Spring
      • Docker
      • 오류
    • 개발 일지
    • 코딩테스트
      • 개념
      • 문제풀이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solid
  • #DIP
  • #정보처리기사 필기
  • #객체지향원리
  • #SRP
  • #lsp
  • #정처기 필기
  • #정처기
  • #OCP
  • #객체지향5원칙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